본문 바로가기
IT 인터넷 이야기

구글메일 수신확인

by 나꽁이 2020. 7. 2.

구글메일 수신확인

 

 

요즘에는 구글메일을 사용하시는 분들이 아주 많아졌습니다. 아직까지는 사용비율이 월등한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과거에 비하면 사용자가 늘어난 것은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보통 메일을 쓰고 상대방이 확인을 했는지 여부를 표시해주는 수신확인 표시가 있기 마련인데 구글 지메일은 안타깝게도 수신확인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없습니다.

 

하지만 크롬의 유용한 점은 확장프로그램이 어마어마하게 많다는 것이죠. 지메일 수신확인 확장프로그램 또한 존재합니다.

 

구글메일 수신확인을 하게 도와주는 확장프로그램은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그 중에서 제가 사용하고 있는 'mailtrack'이라는 확장프로그램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1. 구글메일 수신확인 확장프로그램 설치

확장프로그램 설치를 위해 우선 우측 상단에 있는 메뉴를 클릭해서 도구 더보기로 들어가줍니다.

 

 

도구 더보기에서 확장 프로그램으로 들어가줍니다.

 

 

그럼 제일 상단에 다음과 같은 파랑색 부분이 나타나고 햄버거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그럼 좌측하단에 Chrome 웹 스토어 열기라는 것이 보이고 사진에 표시된 부분을 클릭해서 웹 스토어로 이동해줍니다.

 

 

여기에서 모든 확장프로그램을 검색하고 설치 할 수 있습니다.

검색창에 mailtrack이라는 단어로 검색해주면 다음과 같은 확장프로그램이 검색되고 그것을 Chrome에 추가 버튼을 클릭해서 설치해줍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나타난다면 확장 프로그램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동기화를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동기화를 시켜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동기화를 하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x표시를 눌러 패스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동기화를 사용하지 않으신다면 다른 기기에서는 확장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없으니, 모든 기기에서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동기화를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는데 아래 사진과 같이 아이콘이 보이지 않을 때 보이게 만들고 싶다면 퍼즐모양(확장프로그램 아이콘)을 클릭 후 고정버튼을 클릭해주면 다음과 같이 mailtrack 아이콘이 고정되서 나타나게 됩니다.

버튼을 클릭해서 실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굳이 고정해 둘 필요는 없지만 개인적으로 모든 확장프로그램을 고정해두고 사용하는 편이고, 혹시 모르시는 분이 계실까봐 적어보았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이 고정된 모습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2. 구글메일 수신확인 실행

 

구글메일 수신확인을 실행하기 위해 우선 구글에 로그인을 해보겠습니다.

 

 

로그인을 하고 지메일로 들어가주시면 다음과 같이 액세스를 하겠다고 동의를 구하는 창이 나옵니다. 여기에서 허용을 눌러주셔야 구글메일 수신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럼 우측 상단에 다음과 같이 mailtrack 아이콘이 생성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평소에 하시던대로 이메일을 보내면 수신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보낸 메일함에 들어가보면 다음과 같이 체크 모양의 아이콘 2개가 겹쳐져 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것으로 구글메일 수신확인이 가능합니다.

 

단, 이미 보내신 메일에 대해서는 수신확인이 불가능하니 이 점 참고하시고 수신확인이 필요하시다면 미리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하신 뒤에 메일을 보내시기 바랍니다.

 

 

받은 메일함을 보시면 mailtrack에서 간단한 사용방법을 안내해주는 메일을 보내줍니다.

 

 

메일을 보내면 체크표시가 1개 생기고, 상대방이 메일을 확인하면 체크표시 2개가 모두 녹색으로 변경됩니다. 그리고 아래 사진과 같이 상대방이 몇 번 메일을 확인했는지도 체크할 수가 있습니다.

보통 이메일은 확인했는지에 대해서만 체크할 수 있었는데, 몇 번 확인했는지까지 확인 할 수 있다니 참으로 신기하네요. 

 

 

그리고 mailtrack 확장프로그램은 유료로 사용하신다면 더 많은 기능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다가 마음에 드셔서 더 폭넓게 사용하고 싶으시다면 유료로 결제해서 사용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